청년도약계좌는 청년들의 사회 진출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서 만들어졌습니다.
국정과제91를 수행하기 위한 이번 정부에서 강력하게 추진하고 있는 정부 정책 금융상품입니다.
5년(60개월) 만기, 월 최대 70만 원을 납입하여 가입자와 정부의 기여금을 합쳐 최대 5,000만 원의 목돈을 만들 수 있습니다.
많은 글들이 청년도약계좌의 조건과 대상들에 대해서 좋은 정보들을 알려주고 있습니다.
오늘 이 글은 청년도약계좌의 금리와 납입 금액에 따른 이자를 계산하였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만기일이 도래하였을 때, 내가 받는 이익이 얼마인지를 잘 알 수 있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금리는?
청년도약계좌의 은행금리는 ❶ 기본금리 ❷ 우대금리 ❸ 저소득 우대 금리 총 3가지가 있습니다.
3년 고정, 3년 후 2년 동안은 변동 금리가 적용됩니다.
① 기본금리 ➫ 연 4.5% (모든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에 해당되는 금리입니다.)
② 우대금리 ➫ 최고 연 1% (은행에 따라서 급여이체계좌 설정, 신용카드 실적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③ 저소득 우대금리 ➫연 0.5% (연소득 2,400만 원 이하의 가입자에게 적용하는 금리입니다.)
①, ②, ③ 금리를 합쳤을 때, 청년도약계좌로 받을 수 있는 최대 은행 금리는 6%입니다.
③ 저소득 우대금리의 기준이 되는 연소득 2,400만 원은 매 1년 주기로 심사를 합니다.
③번은 꾸준히 5년 동안 받을 수 있을지 의문이 듭니다.
신규 가입 이자는 얼마일까?
청년도약계좌를 신규로 가입했을 경우
기본 납입 금액인 ① 70만 원 납입, ② 60만 원 납입, ③ 50만 원 납입, ④ 40만 원 납입
네 가지 조건으로 이자를 계산한 결과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만기수령금액은 정부 기여금을 제외한 원금 + 이자 총액으로 계산했습니다.
① 7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
㉠ 5년 금리 5.5%/연 총이자 ➫ 5,871,25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5.0%/연 일 경우 ➫ 5,531,750원, 차액 = 339,5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4.5%/연 일 경우 ➫ 5,192,250원, 차액 = 679,000원
연금리 | 총 이자 (원) | 이자 차액 (원) | 만기수령액 |
5년 5.5% | 5,871,250 | 0 | 47,871,250 |
3년후 5.0% | 5,531,750 | - 339,500 | 47,531,750 |
3년후 4.5% | 5,192,250 | - 679,000 | 47,192,250 |
② 6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
㉠ 5년 금리 5.5%/연 총이자 ➫ 5,032,5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5.0%/연 일 경우 ➫ 4,741,500원, 차액 = 291,0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4.5%/연 일 경우 ➫ 4,450,500원, 차액 = 582,000원
연금리 | 총이자 (원) | 이자 차액 (원) | 만기수령액 |
5년 5.5% | 5,032,500 | 0 | 41,032,500 |
3년후 5.0% | 4,741,500 | - 291,000 | 40,741,500 |
3년후 4.5% | 4,450,500 | - 582,000 | 40,450,500 |
③ 5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
㉠ 5년 금리 5.5%/연 총이자 ➫ 4,193,75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5.0%/연 일 경우 ➫ 3,951,250원, 차액 = 242,5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4.5%/연 일 경우 ➫ 3,708,750원, 차액 = 485,000원
연금리 | 총이자 (원) | 이자 차액 (원) | 만기수령액 |
5년 5.5% | 4,193,750 | 34,193,750 | |
3년후 5.0% | 3,951,250 | 242,500 | 33,951,250 |
3년후 4.5% | 3,708,750 | 485,000 | 33,708,750 |
④ 40만 원을 납입하는 경우
㉠ 5년 금리 5.5%/연 총이자 ➫ 3,355,0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5.0%/연 일 경우 ➫ 3,161,000원, 차액 = 194,000원
㉢ 고정 3년 후, 2년간 4.5%/연 일 경우 ➫ 2,967,000원, 차액 = 388,000원
연금리 | 총이자 (원) | 이자 차액 (원) | 만기수령액 |
5년 5.5% | 3,355,000 | 0 | 27,355,000 |
3년후 5.0% | 3,161,000 | 194,000 | 27,161,000 |
3년후 4.5% | 2,967,000 | 388,000 | 26,967,000 |
일시납 환승 이자는?
청년희망적금 만기로 일시납입을 하는 것이 더 유리하다고 합니다.
청년희망적금 만기 금액 1,311만 원 수령한 만기자가
① 월 70만 원으로 설정할 경우에 대한 총이 자를 계산해 보겠습니다.
① 일시납 후, 월 70만원을 납입하는 경우
㉠ 일시납 1,311만 원 전환기간 ☛ 18개월
㉡ 일시납금액 ☛ 70만 원 X 18개월 = 1,260만 원
㉢ 일시납이자 ☛ 1,260만 원 * 5.5% * 5년 = 3,465,500원 일시납이자는 5년 동안 예금의 형태로 계산됩니다.
㉣ 5년 금리 5.5% 적금이자 ☛ 2,897,125원 (42개월 적금에 대한 이자)
㉤ 3년 후 5.0% 적금이자 ☛ 2,683,625원, 차액 213,500원
㉥ 3년 후 4.5% 적금이자 ☛ 2,470,125원, 차액 427,000원
총이자는 일시납 1,260만 원에 대한 이자와 매월 납입하는 적금 이자를 합산해야 합니다.
연금리 | 총이자(원) | 이자차액 | 만기수령액 |
일시납(1,260만원) | 3,465,000 | - | - |
5년 5.5% | 2,897,125 | 0 | 48,362,125 |
3년 5.0% | 2,683,625 | 213,500 | 48,148,625 |
3년 4.5% | 2,470,125 | 427,000 | 47,935,125 |
각 가입 금액별 이자를 계산한 파일입니다.
신규와 일시납 이자 비교
비교는 70만 원을 가입 금액으로 설정하고,
① 신규 가입 (매월 70만원 x 60개월, 5.5%)과
② 일시납 (1,260만 원, 매월 70만 원, 5.5%)을 비교합니다.
① 신규 가입 70만 원일 경우
㉠ 총이자 ➔ 5,871,250원
㉡ 만기수령액 ➔47,871,250원입니다.
② 일시납(1,260만원, 월 70만 원) 일 경우
㉠ 총이자 ➔ 6,362,125원
㉡ 만기수령액 ➔ 48,362,125원입니다.
- | 신규가입 | 일시납 | 차액 |
총이자 (원) | 5,871,250 | 6,362,125 | 490,875 |
만기수령액 (원) | 47,871,250 | 48,362,125 | 490,875 |
정부기여금은 제외하여 계산하였습니다.
아래의 파일은 일시납 이자를 계산한 파일입니다.
결론
청년도약계좌를 한마디로 목돈 만들기 프로젝트라고 요약할 수 있습니다.
5년간 5천만 원을 모으는 일이 사회 초년생으로 현실적으로 결코 쉽지 않습니다.
청년도약계좌 가입자의 원금과 정부 기여금, 일반 적금 보다 더 뛰어난 금리를 고려했을 때,
적은 금액이라도 무조건 가입해야 하는 금융 상품이라고 확신합니다.
특히 청년희망적금 만기 후,
연 10% 이하의 투자처를 (안전한) 찾고 계신 분이라면 일시납으로 환승하시는 것을 강추합니다.
2024.03.01 - [분류 전체보기] -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조건 2024 최신
청년도약계좌 가입 신청 조건 2024 최신
청년도약계좌의 누적 가입자수가 2024년 2월 21일 기준으로 188.9만명을 넘었다고 합니다. 현재 대한민국에서 가장 핫한 금융적금상품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듭니다. 청년도약계좌는 현 정부의 국
woongth.com
2024.01.03 - [분류 전체보기] -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신청 조건 2024년 최신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 가입 신청 조건 2024년 최신
청년 주택드림 청약통장은 정부에서 2024년 가장 강조하는 정책이에요. 청년층의 자가 주택마련을 통한 출산, 육아를 비롯하여 전 생애주기에 걸쳐 사다리 역할을 해줄 수 있는 정책이라고 강조
woongth.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