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k 케이 패스 교통카드 신청 발급 방법

by 웅쓰얍 2024. 4. 27.
반응형
케이패스 교통카드 신규 발급 신청 썸네일

 
2024년 4월 30일 알뜰교통카드 혜택 사업이 종료 예정 되어 있고, 2024년 5월 1일부터 케이 패스 교통카드 사업이 시작됩니다.
 
알뜰교통카드의 업그레이드된 버전이라고 이야기하는 k 패스 교통 카드의 신청 방법과 발급 카드별 혜택을 자세하게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k 케이패스란

 
대한민국의 대표적인 대중교통비 할인 정책입니다.
 
2024년 4월 30일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완전히 종료되고, 케이패스 교통카드로 사업이 전환됩니다.
 
알뜰교통카드 사업이 이동거리 당 할인을 해줬던 방식이었다면,
 
새로운 케이패스 사업은 대중교통 이용 횟수에 따라 정률로 적립해주는 방식입니다.
 

 

 

kpass의 특징

 
기존의 방식은 도보, 자전거 등도 포함이 되어 있던 이동거리 방식이었다면, 
 
바뀌는 방식은 대중교통비 환급지원 사업의 형태로 대중교통을 15회 이상 이용하게 되면,
 
일반 20%, 청년(19세~34세) 30%, 저소득층 53.5% 가 마일리지로 적립되는 방식입니다.
 
최대 60회 사용까지만 마일리지 적립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신청 발급 방법

 
기존의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고 있는 사람은 k패스 카드를 다시 신청할 필요 없이 
 
4월 30일까지 홈페이지에서 전환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만약 전환 신청을 하지 않을 시에는 기존 알뜰교통카드에 있던 마일리지가 적립되지 않고 모두 소멸됩니다.
 
 
기존 마일리지가 소멸되는 불이익을 받지 않으시려면
 
4월 30일까지 반드시 아래 링크를 통해서 빠른 전환 신청을 해주셔야 합니다.
 
 

 
 
 
이전에 알뜰교통카드를 사용하지 않으셨던 분들은 신규 가입 신청을 하셔서 kpass의 혜택을 누리실 수 있습니다.
 
 
신규 회원 가입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습니다.
 
 
케이패스카드를 먼저 신청하시고 2024년 5월 1일 전 수령하게 될 경우,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면서 카드 매칭을 진행하시고,
 
곧바로 전환신청을 하는 방법이 첫 번째입니다.
 

 

 
 
두 번째 방법은 카드를 수령하시고,
 
2024년 5월 1일 오픈되는 케이패스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5월 1일 공식홈페이지에 신규 회원 가입을 희망하는 분들이 한꺼번에 몰릴경우 신규 회원 가입을 하는데 서버 다운과 딜레이의 변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회원 가입 없이 카드를 사용하게 될 경우 회원 가입 전 사용한 마일리지에 대한 적립이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지금 바로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에서 회원가입을 하시고 전환신청을 하는 방법이 개인적으로 더 나을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카드사별 혜택 비교

 
현재까지 신규 케이패스 교통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는 카드사는
 
케이비(KB) 국민, 엔에이치(NH) 농협, 비시(BC), 삼성, 신한, 우리, 하나, 현대, 디지비(DGB) 유페이, 카카오페이 모바일 교통카드 등 10개 카드사에서 발급이 가능합니다.
 
카드의 형태는 선불형 카드와 후불형 카드가 있습니다.
 
선불형 카드는 이동의 즐거움과 디지비(DGB)유페이, 카카오페이에서 발급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나머지 카드사는 후불형 카드입니다.
 
 

 
 
 
신한, 삼성, 하나 카드는 k패스 전용카드를 새롭게 출시하였습니다.
 
이전 카드를 그냥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전용카드를 출시한 만큼 다양한 혜택이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아래 링크는 신규 교통카드를 출시한 카드에 대한 혜택을 자세히 알아볼 수 있습니다. 
 
 
 

 
 

 
 
 
 
발급 카드사의 혜택들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혜택은 카드 사용 조건을 충족하게 되면,
 
기존 케이패스의 마일리지에 추가로 카드사에서 마일리지를 더 적립해 주거나 결제할인을 해주는 방식입니다.
 
 
 
케이비카드를 예로 들어 보면,
 
케이비국민 신용카드(전월 실적 30만 원 이상)는
 
△버스·지하철 10%
 
△카페·약국·편의점 등 5% 할인
할인 한도는 각각 월 5천 원입니다.
 
 
체크카드는 전월 20만 원 이상 사용 시
 
△버스·지하철 10%
 
△카페·약국·편의점 등 1%
 
월 최대 6천 점의 포인트 적립을 받을 수 있습니다.
 
 

 
 
카드사별로 할인혜택과 방식들이 다양합니다.
 
카드사별로 혜택을 비교해 놓았으니 가장 좋은 혜택이 있는 카드를 선택해 보세요.
 
 

 
 
 
 

 

사업대상지역

 
인구 10만 명 이상인 기초자치단체와 세종특별자치시, 제주시, 서귀포시의 주민은 케이패스 혜택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정부와 지자체 간 5:5의 비율로 정책의 재원을 분담하고 있습니다. 
 
인구 10만 명 미만인 기초자치단체 중 주민등록 상 거주지가 다음에 열거한 지역의 주민은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사용불가 지역
 
강원특별자치도 속초시, 평창군, 정선군, 철원군, 화천군, 양구군, 인제군, 고성군
 
전북특별자치도 김제시, 고창군, 부안군, 진안군, 무주군, 장수군, 임실군, 순창군
 
경상북도 문경시, 예천군, 의성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청도군, 고령군, 성주군, 봉화군, 울진군, 울릉군
 
전라남도 고흥군, 화순군, 영암군, 영광군, 곡성군, 구례군, 보성군, 장흥군, 강진군, 함평군, 완도군, 진도군
 
 

자주 하는 질문

 
1. 알뜰교통카드는 바로 없어지는 건가요?
 
- 4월 30일까지 전환신청을 하시면, 기존 카드 그대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2. 알뜰교통카드 홈페이지 사용은 바로 중단되나요?
 
- 홈페이지의 마일리지 조회는 6월 30일까지 가능합니다.
 
 
3. 혜택이 적용되는 대중교통은 무엇 무엇인가요?
 
-  전국의 버스, 전철 및 지하철(신분당선 포함), 수도권 광역급행철도(GTX)가 대상입니다.
 
시외(고속, 공항) 버스, KTX, SRT 등 별도의 탑승권을 발권하여 탑승하는 교통수단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마무리 글

 
오늘은 국토교통부에서 대중교통비 환급 지원 사업인 케이패스 교통카드의 발급, 신청 방법과 각 카드사별 혜택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한 달 15회 이상  60회 이하로 이용하게 될 경우
 
마일리지 적립을 받을 수 있는 혜택을 꼭 신청하셔서 알뜰하게 대중교통을 이용하셨으면 합니다.  
 
 

반응형